(정처산기)응용 SW 기초 응용 활용

프로세스의 개념과 스케줄링(1)

mynote6676 2025. 4. 11. 20:51

프로세스(process)

 

1)프로세스의 개념

-CPU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및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의 작업 단위이다.

-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을 말함.

-커널에 등록되고 커널의  관리 하에 있는 작업을 의미.

-각종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받을 수 있는 개체이다.

 

2)프로세스의 특징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

-가각의 프로세스는 모두 PCB를 갖고 있다.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이다.

-현재 실행중이거나 곧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

-프로시저가 활동 중임

- 프로세서가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는 개체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

-동시에 실행될 수 잇는 프로그램들의 집합

-비동기적 행위일으키는 주체이다.

-프로세스는 병행 수행이 가능함.

 

3) 프로세스 상태 전이

-컴퓨터 시스템 내 한의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동안 그 프로세스는 계속해서 여러 사건들에 의해 상태 변호를 거친다.

 1. 프로세스 상태

 

-보류(pending)상태 : 작업이 제출 되어 스플 공간인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상태

 

-준비(ready)상태 : CPU를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로 CPU가 프로세스 자신을 처리해 주기를 기다리는 상태.

 

-실행(running)상태 :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

 

-대기(Blocked) 상태 : CPU를 양도하고 입출력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 큐에서 기다리는 상태

 

-종료 (완료, Terminated ) 상태 :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주어진 시간 내에 완전히 종료한 상태

 

2. 상태전이 

 

-디스패치 (Dispatch) :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를 선정해 CPU를 할당함으로써

실행 상태로 전환한다.

 

-할당시간 초과 (Time Run Out) : CPU의 지정된 할당 시간을 모두 사용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를 위해 다시 준비 상태로 되돌아간다.

 

-입출력 발생(Block) : 실행 중인 프로새스가 입출력 명령을 만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입출력 전용 프로세서에게 CPU를 양도하고 자신은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입출력 완료(깨움, wake up): 입출력 완료를 기다리다가 입출력 완료 신호가 들어오면 대기중인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로 전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