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산기)응용 SW 기초 응용 활용 8

기억 장치(1)

기억장치(Momory)의 계층 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기억장치는 디스크나 테이프 같은 보조 기억장치와 주 기억 장치 그리고 캐시 기억 장치 및  CPU레지스터들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하위 계층의 보조 기억장치는 사위 기억장치 보다 싸지만 용량이 크다.-데이터 프로그램은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되며, 실행되기 위해서는 주기억 장치로 적재되어야 한다.-자주 쓰이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cpu에서 접근이 빠른 고속 및 고가의 주기억 장치나 캐시 기억 장치에 배치한다.-레지스터는 cpu내에 있는 고속의 기억장치로 cpu 동작에 필요한 내용을 기억한다.  가상 기억 장치 (Virtual Memory) -주 기억 장치보다 더 큰용량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보조 기억 장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개..

병행 프로세스

병행 프로세스(Concurrent Process)-PCB를 가진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병행 프로세스의 고려사항 1)공유자원을 상호 배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2)병행 프로세스들 사이에는 협력 또는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교착상태를 해결해야 하며 병렬 처리도를 극대화해야한다.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두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운영될 때 서로 공유하게 되는 자원 중에서상호 배제 시켜야 하는 일정 부분의 영역을 의미-문제 해결하기 위한 조건 : 상호 배제( Mutual Exclusion), 진행(Process),한계 대기( Bounded Waitng)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병행 중인 프로세서들 간에 공유 변수를 엑세스 하고 있는 하나..

프로세스 개념과 스케줄링(2)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정의- CPU를 사용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작업-스케줄링 기준에는 프로세서 중심 프로세스, 대화식 프로세스 , 배치 프로세스 등이 있다. 원칙-CPU 이용률과 처리율을 최대화한다.-단위 시간당 처리량 극대화-응답 시간 최소화-경과시간 예측 가능-응답시간 과 자원의 활용 間 균형 유지-대화식 사용자에게 가능한 빨리 응답-모든 작업 공평성-무한 연기는 회피-오버헤드를 최소화 비선점(Non-preempive)1. 우선순위 (Priority) 스케줄링대기하는 프로세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부터 처리 2.기한부(Deadline)스케줄링-특정 시간 안에마치도록 하는 방법 3.FIFO(First In First O..

프로세스의 개념과 스케줄링(1)

프로세스(process) 1)프로세스의 개념-CPU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및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의 작업 단위이다.-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을 말함.-커널에 등록되고 커널의  관리 하에 있는 작업을 의미.-각종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받을 수 있는 개체이다. 2)프로세스의 특징-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가각의 프로세스는 모두 PCB를 갖고 있다.-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이다.-현재 실행중이거나 곧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프로시저가 활동 중임- 프로세서가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는 개체-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동시에 실행될 수 잇는 프로그램들의 집합-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이다.-프로세스는 병행 수행이 가능함. 3) 프로세스 상태 전이-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 종류와 기본 명령어(2)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1)CLI(Command Line Interface)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텍스트 기반의 작업 환경으로, 사용자가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 형태로 명령을 입력하고, 출력도 문자열 형태로 한다.  2)GUI(Graphic User Interface)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통해 윈도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을 이동하는 방식이다.  3)Windows CMD 명령어1. 시스템 관련 명령어2.파일, 폴더, 디스크 관련 명령어(CMD에서 help를 검색해서 확인해보자)  4)유닉스/리눅스 계열 기본 명령어리눅스 또는 유닉스를 구동시킨 뒤 shell 창을 호출하여 명령어를 입력한다.명령어 창에 'help', '-h', '#man'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해 가능..

운영체제 종류와 기본 명령어(1)

운영체제 종류 1)Windows OS -마이크로 소프트社 제품으로 유로- 주로  중소 규모 ,개인용pc의 OS로 사용운영체제의 특징 GUI(Graphic user Interface)지원체계적 고객지원 마이크로 소프트사만 배포 및 수정 가능문제점 발견시 수정에 시간이 걸림유닉스 계열에 비해 보안 취약NTFS 파일 시스템 사용 가능  2) UNIX주로 대용량 처리 , 안정성이 요구되는 서버 제품군에 사용 (유료)다중사용자 ,다중작업 지원하나 이상의 작업에 댜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수행 가능 대화식 시분할 운영체제계층형(tree)구조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대부분 C언어 작성되어 장치 간 호환이 좋다. 구성 :이미지참조 요망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

운영체제의 개념(2)

운영체제의 분류의 기준운영체제는 사용자 수, 동시에 여러 작업의 가능 여부, 처리 방식 등에 따라 분류사용자 수동시 작업 가능 여부처리 방식-단일 사용자------------------다중 사용자-단일 작업--------------------다중 작업-일괄 처리----------------실시간----------------시분할 등 사용자 수-단일 사용자 : 한 명의 사용자만 컴퓨터에 접근하여 처리 가능EX) MS DOS, Window (95, NT, 2000) 개인 컴퓨터--------------------------------------------------------------------------다중 사용자 : 두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에 접근하여 처리 가능함EX) IBM AS400, L..

운영체제의 개념(1)

1)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정의-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S/W)이다.-컴퓨터 자원들인 (기억장치, 프로세서, 파일 및 정보 네트워크 및 보호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있는  프로 그램의 집합이다.  2) 운영체제의 주요기능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쉽게 컴퓨터와 사용자 間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컴퓨터 초기화 시켜도 작업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유지 시키는 역활을 한다.- [CPU, 기억장치, 파일, 입출력 장치 정보 관리 등 ] 자원을 여러 이용자가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효율적 관리를 위해  스케줄링 기능 제공 -시스템 오류 처리 담당 3)운영 체제의 목적-사용자가 프로그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