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체-관계 모델(E-R Model)
- E-R Model은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설계 기법이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Entity) 타입과 관계(Relationship) 타입 간의 구조 또는 개체를 구성하는 속성(Attribute) 등을 약속된 기호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모델을 말한다.
-P. Chen 박사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다.
2. E-R Model의 기호
3. 다양한 관계 표현법(정보 공학적 표현법)
4. 데이터베이스 모델
- 데이트베이스 모델은 개념적 설계 이후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모델이다.
-논리적으로 구현 가능한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계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텔,
계층 데이터 모델 등이 있다.
+ 더알아보기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개념들의 집합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성요소
구조 (Structure)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들 간의 관계를 표시 |
연산 (Operation)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표시 |
제약 조건 (Constrain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을 표시 |
1.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은 표 데이터 모델이라고 하며, 2차원 구조의 표 (테이블)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구조가 단순하며 사요이 편리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태이다.
-n:m 표현이 가능하다.
-'학번', '성명', '전공', '학년'을 속성으로 갖는 '학생' 개체를 관계 데이터 모델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
학번 | 성명 | 전공 | 학년 |
083447 | 강희영 | 컴퓨터 | 3 |
073519 | 홍길동 | 토목 | 4 |
094605 | 김정미 | 컴퓨터 | 2 |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망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레코드 타입 간 관계를 도형으로 표현한다.
-오른쪽 그림은 강사 개체와 학생 개체, 과목 개체 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강사와 학생 사이에는
'지도'관계가 있고, 강사와 과목사이에는 '강의' 관계가 있으며, 학생과 과목사이에는 '수강 신청'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3.계층 데이터 모델
-트리 구조로 표현하며 망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레코드 타입 간 관계를 도형을 표현한다.
-부모 - 자식 관계, 즉 일 대 다(1:N)관계를 나타낸다.
'(정처산기)데이터 입출력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데이터베이스 설계 (0) | 2025.05.07 |
---|---|
(DBIO)데이터베이스 구조(스키마) (0) | 2025.05.06 |
(DBIO)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 | 2025.05.06 |
(DBIO)데이터베이스 개념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