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60

(스프링 부트 입문)PUT 방식에 이해 및 실습

학습 목표1. PUT 방식에 이해 및 실습2.DTO 만들어 보기 PUT 방식은 HTTP 메서드 중 하나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RESTful API에서 특정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 전체 업데이트:- PUT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특정 리소스의 전체 데이터를 보내 해당 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새로생성하는 요청이입니다. 즉, 리소스의 일부가 아닌 전체 데이터를 전송하여 갱신합니다. 멱등성:- PUT 요청은 멱등성을 가집니다. 즉,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보내도 결과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를PUT 요청으로 여러 번 보내도 리소스 상태는 변하지 않습니다. 리소스 식별:-PUT 요청은 URL을 통해 업데이트할 리소스를 ..

Spring boot 2025.06.20

(스프링 부트 입문 )POST 방식에 이해 및 실습

학습 목표1. JSON이해2. POST 주소 맵핑, @RequestBody를 Map 구조로 설정3. JSON 형식을 만들고 POST 방식으로 데이터 보내기4. DTO 만들어서 사용해보기5. @JsonProperty사용해 보기 - 스네이크 케이스와 카멜케이스 구분 POST: 멱동성을 가지지 않는 대표적인 HTTP메서드입니다. 예를 들어 POST/users 로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는 요청을 여러 번 보내면, 매번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됩니다. 즉 같은 요청을 여러 번 보내면 결과가 달라집니다. ============================================================================= JSON 데이터 타입 확인- 문자열 ("name" : "John"..

Spring boot 2025.06.19

(스프링 부트 기초)GET 방식과 URL 주소 설계

학습 목표 REST API 기반으로 주소 맵핑 처리 1. GET방식에 주소 맵핑2.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값을 받는 방식에 이해 응답에 이해3.Path Variable 방식으로 값을 보내거나 받는 방식에 이해4. Query Parameter 방식으로 값을 받는 방법 이해 key=value 구조 데이터 파싱 처리 Map 사용 방식 구조 처리 Dto 객체를 만들어서 처리 | 참고자료https://joont92.github.io/spring/MessageConverter/ [spring] MessageConverter앞서 우리가 HTTP 요청을 모델에 바인딩하고 클라이언트에 보낼 HTTP 응답을 만들기 위해 뷰를 사용했던 방식과는 달리, HTTP 요청 본문과 HTTP 응답 본문을 통째로 메세지로 다루는 방..

Spring boot 2025.06.19

(스프링 부트 입문)스프링 부트 간단한 요청과 응답 동작 방식을 알아보자.

학습 목표 1.디스패처 서블릿에 대해서 알아 보자.2. 메시지 컨버터와 뷰 리졸버를 기억해 보자. ============================================ 스프링 부트 그림으로 요약한 요청과 응답에 흐름 살펴 보기1. 클라이언트 측에서 /user로 GET 요청을 합니다.이 요청은 톰캣을 거쳐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됩니다. 2. 이때 스프링 부트의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받습니다. 디스패처 서블릿은 요청된 URL을 분석하고,이를 처리할 수 있는 컨트롤러와 해당 메서드를 찾습니다. 3. 컨트롤러에서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 경우, 비즈니스 계층(Service)및 퍼시스턴스 계층(Repositroy)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4. 응답 과..

Spring boot 2025.06.19

(스프링 부트 입문)머스태치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 1

머스테치(Mustache)소개머스테치는 로직 없는 템플릿 엔진으로 , HTML과 데이터를 결합해 동적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스프링 부트에서 기본적으로지원되며, 간단한 문법을 통해 데이터 바인딩과 반복 처리가 가능합니다. https://mustache.github.io/ {{ mustache }}Logic-less templates. Available in Ruby, JavaScript, Python, Erlang, Elixir, PHP, Perl, Raku, Objective-C, Java, C#/.NET, Android, C++, CFEngine, Go, Lua, ooc, ActionScript, ColdFusion, Scala, Clojure[Script], Clojure, Fantom, Coffee..

Spring boot 2025.06.19

(아파치 톰캣){{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란?(1)

학습 목표 1. 웹 서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핮.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대한 개념을 알자.==================================================== 웹 서버란? - 정적 콘텐츠 제공자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주로 웹 브라우저)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HTML 파일, 이미지, CSS 파일 등을 제공하는서버입니다. 웹 서버는 요청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게 그대로 반환합니다.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특정 폴더(웹 루트 디렉토리)에정적 콘텐츠를 저장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웹 서버는 (컴퓨터)이 폴도에서 요청된 파일을 찾아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가장 유명한 웹 서버로는 아파치 HTTP 서버(Apache HTTP Server)와 Nginx..

Spring boot 2025.06.19

(HTTP기초지식/사전기반) 12. 웹 렌더링이란?

웹 렌더링(Web Rendering)은 서버로부터 받은 리소스를 이용자에게 시각화하는 행위를 말합니다.서버의 응답을 받은 웹 브라우저는 리소스의 타입을 확인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서버로부터 HTML과 CSS를 받으면 브라우저는 HTML을 파싱하고 CSS를 적용하여 이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웹 렌더링은 웹 렌더링 엔진에 의해서 이뤄지는데, 브라우저별로 서로 다른 엔진을 사용합니다. 사파리는 웹킷(Webkit),크롬은 블링크(Blink), 파이어폭스는 개코(Gecko)엔진을 사용합니다. 각각의 엔진에 따라 렌더링 과정과 순서,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HTML을 파싱하고 시각화하여 이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은 같습니다. 오른쪽 모듈을 HTML, CSS,JS로 구현된 간단한 웹 페이..

Spring boot 2025.06.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