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란 등산의 모든 경로이다 우리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달해야하는데 데이터란 너무 크기가 크기에 한번에 정상까지 전달하기 무리가 있다 그래서 엄청나게 큰짐을 여러 사람들이데이터를 여러 가방에 담아(패킷) 정상까지 올라갈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가방에 담은 패킷을 들고 모두 같은 경로로 정상까지 가지 않을 것이다. (추가 지식: 포트(port)는 등산로 입구이다.) 그래서 정상까지 가기 위해 필요한 안내소 , 안내판이 필요하고 우리는 이 안내소,안내판을(라우터)보고 등산하는 것이다 . 이 산에 올라가기 위해 필요했던 모든 안내소,안내판의 갯수 단위를 (홉)이라고 하고 하나의 라우터가 생성된 다면 1개의 홉이 생성된것이다. 그렇게 모든 패킷을 짊어진 사람들이 라우터를 참조해가면서 결국 모..